latent space model1 [논문 리뷰] Latent Space Approaches to Social Network Analysis N명의 사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SNS가 있다고 가정하자. 서로 친한 관계의 사람들은 친구 관계로 연결되어 있을 것이고, 이를 Node와 Edge로 이루어진 Network data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네트워크는 N이 커질수록 매우 복잡해질 것이다. 즉, SNS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어떤 사람들이 서로 친구이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등의 네트워크에서 나올 수 있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발견하기가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이런 경우, 네트워크에 어떤 통계 모형을 가정하여 복잡한 관계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렇다면 복잡한 네트워크로부터 어떻게 정보를 가져올 수 있을까?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거리"를 가지고 친구가 될 확률을 모델링한다.. 2022. 12. 22. 이전 1 다음